공지사항

티로그테마를 이용해주셔서 감사합니다.

844c48ea4f975fe31a6349cd85d1a36b_1617688792_1299.png 

실시간 온.오프라인 수업 이 가능 한 온더라이브

페이지 정보

profile_image
작성자 최고관리자
댓글 0건 조회 71회 작성일 20-11-16 11:49

본문

오늘은 최근 출시된 온라인 원격 교육 클라우드 서비스인 온더라이브를 기준으로 Zoom 등과 같은 유사 서비스와의 비교 및 활용 사례 등에 대해서 기술하고자 합니다.

현재 기본적으로 온라인 원격 수업을 위해서는 다음과 같은 조건들이 수반되어야만 합니다. 

온더라이브 는 실시간온라인 원격 수업 솔루션 이라는 큰 카테고리 속에서는 별반 차이가 없지만 

가장 큰 장점은 몇가지로 요약 해보면 다음과 같다. 


 1.  누구나 10분 이면 사용 가능 한 쉬운 사용법 

 1.  프로그램 다운로드나 설치 가 필요 없이 웹브라우즈 에서 바로 실행 가능 

 1.  여러대의 카메라 (웹캠,캠코드 화면공유) 등 5개 의 컨텐츠를 교사가 미리 보며 바로 송출 가능 하도록 구성 되아 

          온라인 뿐 아니라 오프라인 실시간 수업 내용을 온.오프 동시에 가능 한 제품 

 1. 수업중 실시간 출석체크 퀴즈풀이 설문작성 등 주의 환기 기능 

 1. 수업 종료후 각 수업별 대시보드 제공 

 1. 출석부 를 사전에 교사가 일괄적으로 등록  부단임과 공유 기능  

등 다양한 기능들이 제곰 


10가지를 기반으로 온더라이브의 개념은 만들어졌습니다. 

 

⑴ 서비스 이용을 위한 ICT 소양 수준의 최소화
기본적으로 40여만 명의 교원과 500여만 명의 학생으로 구성되어 있는 공교육 현장과 기타 사교육에 몸담는 교육 관련 모든 구성원들의 ICT에 대한 수준은 아주 높은 수준부터 기본적인 소양만을 갖춘 다양한 부류로 분포되어 있습니다. 따라서 교육의 목적에 맞게 최소한 수준만 갖추어도 원격 온라인 교육을 할 수 있어야만 합니다.
즉 프로그램 설치가 필요 없는 웹브라우저 기반의 서비스가 되어야만 합니다.

⑵ 특정 OS 및 기기에 종속되지 않는 서비스가 필요
현재 우리 주변에는 수많은 기기와 OS들이 상존합니다. 이들 기기들을 보면 스마트폰을 시작으로 태블릿, PC (데스크톱/노트북), 크롬북, 전자칠판 및 윈도우즈를 시작으로 크롬, 사파리, 안드로이드, 및 iOS와 같은 많은 OS들이 디바이스와 함께 작동됩니다. 따라서 모든 기기와 OS를 지원해야만 합니다.

⑶ 수업(강의) 개설 및 수업 참여 방법의 용이하며 단순화
교사(강사, 교수)들의 수업 관리 기능들은 사용하기에 단순화되어야만 합니다. 학생 등록, 수업 개설 등의 편의성 추구되어야만 하고 기능의 최소화가 제공되어야만 합니다. 예를 들면 학생 등록 시 교사(강사)들의 학생 등록이 편리해야만 하며 시간표에 맞게 사전에 수업을 개설하고 이를 수업 전 관련된 학생들에게 알림을 통하여 인지시키면 강의하는 입장에서는 편리하고 수업에 집중할 수 있습니다. 또한 저학년의 경우, 등록의 어려움을 제거하고 강의자의 수업(강의)만 참여하기만 하게 서비스를 제공해야만 합니다.

⑷ 실시간 쌍방향 화상 소통 지원 필요
교육에 있어서 가장 중요한 부분 중에 하나는 바로 실시간 쌍방향 대화를 통한 학생과의 소통에 있습니다. 이와 같은 소통을 통하여 면대 면 학습에 이루어지는 교사(강사)와 학습자 사이의 친근감이나 서로에 대한 신뢰감을 높일 수 있습니다. 이를 위한 가장 중요한 기술적 이슈는 바로 강의자와 학습자 사이에 이루어지는 지연시간을 최소화해야만 합니다. 이를 통해 면대 면의 효과를 얻을 수 있습니다.

⑸ 강의, 토론, 실습 등의 다양한 수업 형태 지원 필요
학습의 방법은 강의식, 토론식 및 실험을 포함하여 이에 대한 온라인 평가가 지원되어야만 합니다. 이를 위해서는 웹캠과 같은 디바이스를 시작으로 화면 공유, 스마트폰 등을 이용한 고정형 강의식 수업과 이동식 수업 등의 다양한 교수학습 활동 형태를 지원해야만 합니다.

예를 들면 만일 두 개의 웹캠을 이용할 경우, 실험실습과 같은 새로운 방식을 수업을 진행할 수 있습니다.

⑹ 손쉬운 출석관리를 통한 사용자 참여 지원 기능 필요
교사 중심의 학생 ID 생성이나 그룹 (모둠) 관리, 자동 출석이나 수시 출석 체크를 통한 출석 현황 파악 등은 학생의 학습권 및 평가에 중요한 요소들이기에 이들 서비스가 지원되어야만 합니다.

⑺ 디지털 또는 아날로그에 관계없이 다양한 콘텐츠 활용 지원 필요
디지털 교과서나 e학습터에서 제공되는 디지털 콘텐츠들을 화면 공유를 통해 학습자에 제공하거나 웹캠(하나 또는 둘)을 통한 과학 실습이나 토론 수업을 할 수 있게 지원해야만 한다. 최소한의 면대 면 수업에서 이루어지는 경험들을 이를 통해 어느 정도 보완해야만 하기 때문입니다.

⑻ 서비스 보완 및 자료에 대한 저작권 고민 해결 필요
교사 관리 중심의 서비스를 통해 외부 접속 차단 등을 통한 보안 강화 및 실시간 교육을 통한 수업 안에서 콘텐츠의 자유로운 활용함으로써 저작권 고민을 해결할 수 있습니다.

⑼ 오프라인과 유사한 형태의 다양한 상호작용 서비스 필요​
면대 면 수업에서 이루어지는 발표, 질문, 퀴즈 또는 설문들과 같은 상호작용할 수 있는 서비스가 필요합니다. 이를 위해서는 최소화한 지연시간이 지원되어야만 하고 하나 이상의 카메라 그리고 자신의 PC를 이용한 화면 공유가 지원되어야만 합니다.

⑽ 수업 결과의 데이터베이스화를 통한 수업 참여 결과 관리 서비스 필요
학생이나 연수생의 수업 참여 정도, 퀴즈, 참여시간, 발표, 질문 횟수 또는 정. 오답 여부 및 성취 수준 등에 대한 데이터의 시각화함으로 인하여 정보를 활용할 수 있게 함으로 인하여 객관적인 학습 성취도를 학생이나 학부모들에게 제공할 수 서비스를 제공해야만 한다.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